임산부 영양제 복용 시기, 종류, 복용 시간 등
현대인이라면 영양제 한두 가지쯤은 챙겨 드시고 있을 텐데요. 임산부라면 영양제가 특히 더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평소보다 많은 영양분이 태아에게 가기 때문에 영양 상태가 안 좋아질 경우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산부가 시기별로 먹어야 할 영양제와 복용 시간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양제 복용시기
임신 준비 기간 | 임신 1~3개월 | 임신 4~7개월 | 임신 8~10개월 | 출산 후 수유시 |
엽산(임신 전~13주) | ||||
비타민D | ||||
유산균 | ||||
철분(16주~출산 후 3개월) | ||||
칼슘(20주~출산 후3개월) | ||||
오메가3(14~34주) |
꼭 날짜를 딱 맞춰 먹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철분 같은 경우 저는 병원에서 입덧이 안 끝난 경우 괜히 더 속이 안 좋을수도 있으니 20주부터 먹어도 된다고 했어요. 칼슘이나 오메가3도 미리 챙겨 드시는 분들 많으시더라고요.
영양제 종류
임신 중기가 되면 태아 발달에 따라 많은 혈액이 필요해지고 그만큼 철분도 많이 필요해집니다. 철분이 부족하면 임산부는 빈혈을 느낄 수 있고 태아는 미성숙아로 태어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유산이나 조산의 위험도 증가한다고 합니다. 저는 병원에서 20주부터 철분을 복용하라고 했는데 보통 16주부터 조금씩 복용하시는 것 같더라고요. 전 17주에 빈혈을 느끼기 시작해서 그때부터 복용을 시작했습니다. 철분은 출산 후 3개월까지 복용하면 좋고 하루 권장량은 25~30mg 정도라고 합니다.
아기의 뼈와 조직은 칼슘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역시 임산부에게서 빠져나간 칼슘이겠죠? 임신과 출산을 겪은 여성분들이 뼈가 시리고 뼈 마디가 아프고 골다공증이 오는 이유가 이것일 겁니다. 칼슘은 타기의 근골격이 형성하는 임신 2~3개월이나 중기에 들어서면서 복용하는 것이 좋은데요. 입덧이 심하거나 속쓰림이 있다면 중기부터 섭취하는 것을 권하기도 합니다. 수유 중에도 섭취를 권하고 임산부의 하루 권장량은 1200mg이라고 합니다.
오메가3는 태아 두뇌 영양 공급에 도움이 되고 임산부 혈액 순환 및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산후 우울증 예방에도 좋은 영향이 있다고 하네요. 태아 신경계와 망막 발달을 위해 DHA 필요량이 많이 늘어나는데 일반적은 식품을 통해서는 섭취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영양제로 보퉁해 주는 것이 좋고요. 임산부의 하루 권장량은 500mg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요. 오메가3가 출산 시 출혈을 촉진시킬 수 있어 34주 정도까지만 섭취해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영양제 섭취 시간/방법
- 칼슘과 철분은 3~6시간 텀을 주고 복용해야 합니다. 서로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 철분은 비타민C와 함께 복용하면 흡수에 도움이 되며 공복에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철분이 워낙 흡수율이 낮다고 하네요. 하지만 공복에 섭취했을 경우 속이 쓰릴 수 있고 입덧을 하는 경우 속이 더 안 좋을 수 있으니 이럴 땐 식사 후 복용하세요.
- 칼슘은 식사 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고 비타민D와 함께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 오메가3도 식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고 해요.
- 유산균은 공복에 섭취해 주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전 오전 공복에 유산균, 철분, 비타민C/ 저녁 식사 중 또는 식사 후에 오메가3, 칼슘, 비타민D, 엽산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임신,출산,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증상(9~16주), 기형아 검사 후기 (0) | 2022.02.09 |
---|---|
임신 기형아 검사(시기, 종류, 방법 등)_2 (0) | 2022.02.01 |
임신 초기 증상(1~8주), 검진 후기 (0) | 2022.01.25 |
임신 기형아 검사(시기, 종류, 방법 등)_1 (0) | 2022.01.16 |
임산부 까스활명수 먹어도 될까? (효소, 텀스, 까스활) (0) | 2022.01.12 |